카테고리 없음

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숫자 알아보기

기무사음 2025. 6. 9. 11:59

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주민등록번호. 특히 뒷자리 숫자에는 숨겨진 정보들이 들어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단순한 번호 같지만 성별, 출생지역, 출생등록 순서 등을 알 수 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의미숫자별 해석 방법을 자세히 안내해드립니다.

 

주민등록번호 구조

앞자리와 뒷자리는 각각 어떤 뜻?

주민등록번호는 총 13자리로 구성되며,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, 뒤의 7자리는 성별, 출생지역, 등록번호, 검증코드를 의미합니다. 특히 뒷자리 첫 숫자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요.

뒷자리 첫 번째 숫자의 의미

1~4까지는 국내출생, 5~8은 해외출생

뒷자리 1번째 숫자는 성별과 출생 세기를 나타냅니다.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.

숫자 의미
1 1900~1999년생 남성
2 1900~1999년생 여성
3 2000~2099년생 남성
4 2000~2099년생 여성
5 1900~1999년생 남성 (외국인)
6 1900~1999년생 여성 (외국인)
7 2000~2099년생 남성 (외국인)
8 2000~2099년생 여성 (외국인)

 

2~6번째 숫자: 지역 코드

어디서 태어났는지 알려주는 정보

뒷자리 중 2번째부터 6번째 숫자출생신고된 지역을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00~08은 서울특별시, 09~12는 부산광역시처럼, 지역별 코드가 배정되어 있어요. 이 코드는 통계청 기준으로 구분됩니다.

7번째 숫자: 검증번호

주민번호가 맞는지 확인하는 숫자

뒷자리 마지막 7번째 숫자앞의 숫자들이 맞는지 검증하는 체크용 숫자입니다. 특정 계산식을 통해 정해지며, 무단 생성 방지 및 오류 방지의 역할을 해요. 일반인은 알 필요는 없지만, 번호의 신뢰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.

 

2000년 이후 출생자의 번호 변화

3번과 4번이 사용되기 시작

2000년생부터는 뒷자리 첫 숫자가 1, 2가 아닌 3(남성), 4(여성)으로 시작합니다. 예전과 달리 세기 구분이 생기면서 미래 출생자 구분이 쉬워졌어요. 이 방식은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, 외국인의 경우도 7, 8번을 사용합니다.

주민등록번호 개편 정보

2020년부터 주민번호 일부가 비공개로 전환

2020년부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주민등록번호의 지역 표시 등 일부 정보가 무작위로 배정됩니다. 이는 주민번호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조치로, 앞으로는 지역 구분이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.

주민등록번호 구성 요약

구분 의미
앞 6자리 생년월일 (YYMMDD)
뒷자리 1번째 성별 및 출생 세기
뒷자리 2~6번째 출생 지역 코드
뒷자리 7번째 검증 코드

 

외국인 등록번호와 차이점

외국인은 다른 번호를 사용해요

외국인 등록번호는 주민번호와 형식은 같지만, 뒷자리 첫 숫자가 5~8로 시작합니다. 성별 및 출생년도 기준은 같지만, 외국인 여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예요.

 

마무리 정리

주민등록번호는 단순한 숫자 조합이 아니라, 개인의 성별, 출생연도, 지역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. 특히 뒷자리 첫 숫자는 성별과 출생 세기를 알 수 있는 핵심 정보이며, 이후 숫자들도 지역과 신원 검증에 사용돼요. 다만 최근에는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일부 정보는 무작위 처리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.

주민등록번호 뒷자리 FAQ

Q.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첫 숫자는 어떤 의미인가요?

A. 성별과 출생 세기를 구분합니다. 예를 들어 1은 1900년대 남성, 3은 2000년대 남성을 뜻합니다.

Q. 주민등록번호로 출생지를 알 수 있나요?

A. 뒷자리 2~6번째 숫자로 출생 신고된 지역을 알 수 있습니다. 다만 최근에는 무작위 배정으로 바뀌는 추세입니다.

Q. 주민등록번호 개편이 되었나요?

A. 네, 2020년부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지역 코드 등의 정보는 무작위로 바뀌어 적용되고 있습니다.